일반(개요) 우라늄은 지구가 만들어진 이후, 늘 존재해온 것으로 자연적으로 생성된 금속 원소이다. 다른 광물들과 마찬가지로 화산 활동에 의해 땅위에 퇴적되어 강우로 씻겨 녹아내리고 일부 지역에서는 땅 속에 묻혀 있다. 간혹 화학적 조건이 맞아 농도가 높은 “광석덩어리”가 되기도 하며, 지구의 지각(토양, 암석), 바다, 지하수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소이다. 우라늄은 원자량이 약 238로(핵에 92개의 양성자와 약 146 개의 중성자가 존재)...
일반(개요) 아이오딘(옥소, Iodine, I)은 원자량이 약 126.9 g/mol, 밀도가 4.92 g/cm3, 동위원소가 37개이며, 안정 동위원소는 I-127이다. 반감기가 1일 이상인 동위원소는 I-125(약 60일), I-126(약 13일), I-129(약 1,570만년) 등 4개 이다. 핵분열생성물 중의 하나인 I-131의 핵분열 생성수율은 약 3% 이다.(핵분열 100회에 3개의 원자 생성) 이다. 반감기가 8일로 비교적 짧지만 I-131은 투과방사선인 감마선(약...
일반(개요) 세슘은 원자량이 약 132.9 g/mol, 밀도가 1.87 g/cm3, 동위원소가 36개이며, 안정 동위원소는 Cs-133이다. 동위원소 대부분은 반감기가 짧고, 1년 이상인 동위원소는 Cs-137(약 30년), Cs-134(약 2년), Cs-135(약 230만년) 등 3개 이다. 원소주기율표의 1족인 알칼리금속으로 화학반응성이 크다. 수정(crystal rock)에 약 7 ppm, 해수(sea water)에 약 0.002 ppm 존재한다. 우라늄 혹은 플루토늄이...
일반(개요) 삼중수소는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이며, H-3 또는 H3로 표시한다. 수소 원자의 핵은 하나의 양성자로 이루어져 있지만, 삼중 수소의 핵은 두 개의 중성자와 한 개의 양성자로 구성된다. 삼중수소의 핵은 불안정하여 방사성 붕괴과정을 거쳐 안정화 된다. 이 붕괴로 삼중수소 원자는 비 방사성인 헬륨 원자로 바뀌고, 그 과정에서 베타 입자 혹은 베타선으로 알려진 전리방사선을 방출한다. 삼중수소의 물리적 반감기는 12.3 년이다. 삼중수소에 의해 방출되는 베타선은 평균...
라디오파와 마이크로파는 전자기 에너지의 한 형태이며, 이를 무선주파수(Radio-frequency, RF)라고 한다. RF 방출이라 하면 에너지, 방사선, 장(場) 등을 연상하게 된다. 방사선은 파동 혹은 입자의 형태로 공간을 통하여 에너지가 진행하는 것이다. 전자기방사선(electromagnetic radiation)은 파동의 진행방향으로 한 축은 전기장이 다른 한 측은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이다. 이러한 파동은 도전체 금속(conductive metal)이나 안테나에...
최신 댓글